GTX(광역급행철도)-A 노선 사업 공사 구간인 경기 고양시 대곡역과 파주 운정역 구간에 발암물질인 라돈이 다량 검출된 것으로 4일 확인됐다. 특히 대곡역 구간에선 실내 권고 기준치의 6배를 초과하기도 했다.
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‘GTX-A 환경영향평가서 본안’ 자료를 보면, 사업자인 A사가 2018년 9월 대곡역과 운정역 구간의 라돈 현황을 조사한 결과, 고양시 대곡역 구간에선 시간당 평균 22.53~26.87pCi/L가, 파주시 운정역 구간 9.85~9.9pCi/L의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.
환경부가 권고하는 실내 라돈 기준치는 4pCi/L이다. 실내 기준으로는 대곡역 구간에선 최대 6배를 초과하는 셈이다. 다만 국내에는 실외 라돈 기준은 마련 돼 있지 않다.
출처 :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서 본안,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실 제공
GTX(광역급행철도)-A 노선 사업 공사 구간인 경기 고양시 대곡역과 파주 운정역 구간에 발암물질인 라돈이 다량 검출된 것으로 4일 확인됐다. 특히 대곡역 구간에선 실내 권고 기준치의 6배를 초과하기도 했다.
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‘GTX-A 환경영향평가서 본안’ 자료를 보면, 사업자인 A사가 2018년 9월 대곡역과 운정역 구간의 라돈 현황을 조사한 결과, 고양시 대곡역 구간에선 시간당 평균 22.53~26.87pCi/L가, 파주시 운정역 구간 9.85~9.9pCi/L의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.
환경부가 권고하는 실내 라돈 기준치는 4pCi/L이다. 실내 기준으로는 대곡역 구간에선 최대 6배를 초과하는 셈이다. 다만 국내에는 실외 라돈 기준은 마련 돼 있지 않다.
출처 : 경향신문
> 기사 원문 보러가기